|
 |
H > 정보마당 > A-Z찾아보기 |
 |
유해 물질명 |
퓨란 (Furan) |
CAS 고유번호 |
110-00-9 |
동의어 및 약자 |
1,4-epoxy-1,3-butadiene, axole, divinylene oxide, furfuran, oxacyclopentadiene, oxole, tetrole |
유해물질에 대한 설명 |
퓨란은 무색, 휘발성의 액체이며 5원자 방향족헤테로 고리화합물로서 일반적으로 가정에서의 조리과정이나 식품 제조·가공 중 가열처리시에 자연스럽게 생성되며 커피, 빵, 조리된 가금류, 카제인나트륨, 콩 및 통·병조림 식품 등의 가열처리 제품에서 주로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최근 오염물질에 대한 과학적 분석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식품 중에 잔존하는 퓨란을 검출하게 되었다. |
생성원 및 용도 |
식품제조 과정에서 아미노산(amino acids)이나 탄수화물(당, sugar)을 가열하거나, 비타민C나 다중불포화 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등의 성분이 가열분해되었을 때, 그리고, 마이얄 반응의 중간 생성물로서 식품 중에 퓨란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미국식품의약품안전청(FDA ;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캐나다 보건국(Health Canada), 유럽식품안전청(EFSA ;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에서는 식품을 통조림으로 가공하거나 열을 가하여 조리하고 굽는 등 전형적인 열처리 과정에서 생성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퓨란은 주로 커피, 육류통조림, 빵, 열을 가하여 조리한 닭고기, 카라멜 등 일부 열처리 식품에서 검출되었지만, 최근 분석 기술의 발전으로 스프, 소스, 콩, 파 스타, 유아용 식품에서도 매우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고 있다. 지질 과산화물은 불포화지방산(PUFA)으로부터 반응성이 높은 산소에 의해 비효소적으로 생성되거나 또는 lipoxygenase에 의해 효소적으로 생성된다. 이 불포화지방산(PUFA) 과산화물은 계속 분해되어 철이온의 촉매하에 결국 2-alkenals, 4-oxo-2-alkenals, 4-hydroxy-2-alkenals 등이 생성된다. 이 중 4-hydroxy-2-nonenal (4-HNE)과 같이 세포독성이 강한 화합물들은 단백질이나 DNA, 저밀도 지단백질 (LDL)등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이 퓨란의 모분자(parent) 형태는 5-pentylfuran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4-hydroxy-2-butenal이 환을 형성하고 물분자가 제거되어 퓨란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rolina at 2004) 독성이 강한 4-hydroxy-2-alkenals은 동 과정을 거쳐 독성은 약해지고 휘발성이 강한 퓨란 모체로 전환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문제가 되는 원인 |
퓨란과 인체 발암성과의 상관성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고, 식품 중 퓨란은 저농도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인체 위해 여부는 아직 불확실한 상태이나 퓨란이 인체 암발생에 기여할 가능성은 있으므로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퓨란을 발암가능물질(인체 발암 증거가 부정확하고, 실험동물 발암 증거도 충분하지 아니한 경우)로 분류하고 있다. |
이화학적 특성 |
퓨란(Furan, C4H4O)은 5원자 방향족헤테로 고리화합물로서 끓는 점은 31.4 ℃이며 녹는 점은 -85.6 ℃이며 클로로포름 냄새가 나는 무색의 휘발성 액체로 분자량은 68.075이다. |
관련질병 |
어떤 질병이나 독성과 특별히 연관되었다고 밝혀진 경우는 아직까지는 없다. |
민감집단 |
해당사항 없음. |
오염경로 |
가열 조리 식품에서 퓨란 검출 사실은 1960년대에 밝혀졌으며 2004년 미국에서 식품 중의 퓨란을 극미량(ppb단위, 10억분의 1)까지 검출할 수 있는 시험법을 개발하고,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여러 종류의 식품에서 퓨란 검출사실이 발표 되었다. 식품 중에서 어떻게 퓨란이 생성되는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퓨란 생성 메카니즘은 여러 경로가 있을 수 있으며, 가열이 식품 중에 퓨란 생성의 중요한 요인이지만 유일한 경로는 아닌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
주요 관련식품 및 오염현황 |
유아용 분유는 평균 3.60 ppb, 이유식은 평균 21.03 ppb로 나타나 이유식이 분유보다 퓨란 함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유아음료의 경우 20개 시료의 평균은 5.47 ppb 로 조사되었다. 또한 통조림식품 50건을 분석한 결과, 과일 통조림이 2.28 ppb로 가장 낮았고, 곡류, 두류, 통조림과 채소류 통조림은 각각 5.61과 6.24 ppb이었으며 반면 육류, 참치 그리고 기타수산물 통조림은 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분포하였다. 인스턴트 커피류에서는 퓨란이 22.6~224.5 ppb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국내 식품 중 퓨란 함량은 커피류, 통조림, 유아식품 순으로 유의하게 높으며 국내 식품과 미국 식품의 퓨란 함량을 비교한 결과, 분유(p<0.0001), 이유식(p=0.0005), 과일/곡류/두류 통조림(p=0.0303)에서 미국이 유의하게 높다. |
국내·외 기준 규격 |
미국의 DHH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의 발암물질 목록에 퓨란이 등재되어 있으며 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는 퓨란을 인체 발암가능 물질로 규정하고 있으나 퓨란과 관련된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나라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
* 자료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청 위해예방정책국, (사)한국식품안전연구원 편집 |
|
|
|